일본생활 (8)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국인들의 해외여행(韓国人の海外旅行) 안녕하세요 아이들과 봄방학 기간동안 한국에 다녀오느라 오랜만에 글을 쓰는 것 같아요. 한국여행을 다녀 오면서 느낀 점들도 많이 있지만 오늘은 그 중에서도 한국 사람들의 해외여행에 대해서 얘기 해볼게요. 우선 일본은 인구가 약 1억 2천명인데 비해 연간 해외 여행객은 2천만명 정도라고 해요. 그에 비해 한국은 인구가 5천만명으로 일본의 약 0.4배에 불과하지만 해외여행 인구는 2천8백만명으로 일본보다 많다고 하는 뉴스를 보고 놀랐어요. 실제로 요즘 한국 일본을 오가다 보면 비행기나 배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90% 이상이 한국사람이며, 일본인들은 한국을 좋아하지만 많이 오지는 않는 것 같아요. 이걸 두고 많은 해석들이 있지만 가장 와 닿은건 한국인이 국내 여행을 가는 비용이랑 가까운 해외 여행을 가는 비용이 .. 일본 야구의 인기(WBC) 안녕하세요 오늘은 일본에서 가장 인기있는 스포츠 중 하나인 야구에 대해서 얘기 해볼까해요. 지금 한창 WBC 가 진행중이라 일본에서의 야구에 대한 관심이 특히 높아져 있는데요. 자국을 대표하는 사무라이재팬이 우승하기를 상당히 기대하고 있는 것 같아요. 티비를 켜면 아침 저녁 가리지 않고 선수들의 연습 모습이나 인터뷰를 보여주고 있어요. 특히 대한민국에서도 유명한 오타니 선수나 다르빗슈 선수를 중심으로 이번에 처음 합류한 눗바(모친이 일본인)선수가 특히 인기가 많은 것 같아요. 지금 제가 가르치고 있는 한국어수업 수강생들도 대부분 이 3명을 보기 위해 WBC를 본다고 하네요. 내일이 일본 vs 멕시코 준결승이고 모레가 결승전인데 과연 일본이 어디까지 갈 수 있을지 저도 관심을 가지고 있어요. 지금까지는 일.. 일본의 3월은 학기 말 이에요 오늘은 일본의 3월에 대해 얘기 해 볼게요. 대한민국은 3월에 학교의 신학기및 회사의 신입사원 채용등 새출발이 시작되는게 보통인데요. 일본은 그보다 한달 느린 4월에 학기가 시작합니다. 오늘 큰아들의 학원에서 드디어 3학년 3학기 마지막 수업을 진행했어요. 바로 다음주부터 봄방학 코스가 시작되긴하지만요... 대한민국과 1달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 시즌을 이용해 이중국적의 아이들은 다른쪽의 학교에 (한국 →일본 또는 일본 →한국)다니기면서 글이나 말을 배우는 것으로 알고있어요. 아무튼 일본은 4월 초(보통 1주차 말~2주차)에 학기가 시작되기 때문에 후쿠오카에 사는 학생들은 봄방학 기간동안 벚꽃을 보고 신학기를 시작할 수 있어요. 저는 회사에 다니는 동안은 휴가를 써서 아이들과 벚꽃 구경을 다니곤 했는데.. 일본에서 학원 보내기 얼마전 대한민국의 사교육비가 역대 최대라는 뉴스를 보았어요. 학생수는 예전에 비해 현저히 줄어드는데 교육비는 늘어나는 모순이라니. 대한민국에서 아이들 교육시키는게 얼마나 힘든지 한눈에 알 수 있는 뉴스였습니다. 그래서 저는 대한민국보다 조금 덜 한(??) 일본에서 아이들을 키우기로 했어요. 일본 대부분의 아이들은 학원을 가기보다는 본인이 좋아하는 스포츠를 배운다던가 다른 취미활동을 배우는 경향이 많이 있어요. 하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학원비가 꼭 대한민국보다 싸다고만 볼 수 는 없는데요. 우선 저희 큰 아들이 다니는 영진관(일본발음은 えいしんかん)이 큐슈지역에서는 가장 큰 학원 체인이에요. 학년마다 가격이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초등학교 기준으로 대한민국 평균이 328,000원이라고 읽었는데 4학년인 제 .. 일본 운전 시 주의사항 대한민국 면허가 있으면 일본 면허로 교환 발급이 가능해요. 그래서 저도 바로 발급 받아서 일본에서 운전을 시작했는데요. 한국과는 핸들과 차선이 반대라 항상 조심하는 편이지만 그 보다도 더 조심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일시정지 인데요. 일본은 대한민국과 달리 감시카메라로 체크하는 것 보다는 실제로 경찰이 서서 감시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물론 대놓고 경찰이 있는 것을 알려주기 보다는 항상 골목에 숨어 있다가 갑자기 나타나는 식이죠. 그래서 실제 일본인들도 단속에 자주 걸립니다. 그 중에서도 대한민국에서는 거의 지켜지지 않는 일시정지에 관해 오늘은 얘기해 볼게요. 대한민국에서도 운전중 일시정지를 해야 하는 경우가 있지만 사실 속도를 늦추거나 주위 확인만 하면 그냥 지나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던 것 같.. 일본 정착 1년째 2021년 12월을 기준으로 11년간 근무했던 직장을 그만두고 가족들이 살고 있는 일본으로 왔어요. 10년간의 기러기생활(1달에 1번정도는 갔었지만..)을 청산하고 가족들과 살게 된 것 만으로도 더이상 바랄게 없을 것 같은 시간이었는데요. 그 동안 놀아주지 못한 미안함에 아이들과 우선 이곳 저곳 많이 다니려고 노력했으나 당시 일본은 아직 코로나가 끝나지 않은 분위기라 기대한 것 만큼 많이 놀러 가진 못했지만 그래도 아이들이 가고 싶어 했던 곳들은 대부분 갈 수 있었던 1년 이었던 것 같아요. 지금 살고 있는 후쿠오카에 키자니아가 생기면서 여름방학에 다녀왔고, 항상 가고싶어하는 USJ(유니버셜스튜디오재팬, 오사카지방 사람들은 줄여서 유니바 라고 한다고 하네요 ...)에도 다녀왔어요. 1년동안은 일을 하지 .. 한국과 일본의 스타벅스 요즘은 많은 일본인들이 한국에 놀러 오면 카페를 들른다. 일본에서는 보기 힘든 카페 거리라던지 각 카페별로 특화된 디자인과 메뉴들을 즐기면서 각자 원하는 음료와 디저트들을 맛볼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에 카페가 많은 이유중에 하나가 한국사람들이 좋아하는 음료 no1 이 커피이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그중에서 오늘은 세계 커피 시장의 큰 손 스타벅스에 대해 얘기해 보려고 한다. 일본의 스타벅스는 1996년 도쿄 긴자에 1호 점이 생긴 이래 2020년 3월 현재 1527개로 확인된다. (자세한 정보는 여기서) https://store.starbucks.co.jp/en/?keyword= 반면 한국은 일본보다 3년 늦은 1999년 서울 이대점(이화여자대학교 앞)을 1호점으로 시작해 2020년 3월 기준 1264개의.. 일본 3대 도시 예전에 라인에서 한창 일본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칠 때 아이치현과 나고야 사람들과 자주 엮이는 시즌이 있었다.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그때 유독 그쪽 지방 사람들이랑 말할 기회가 잦았는데 그때 제일 많이 들었던 얘기가 일본 3대 도시에 관해서이다. 여러분들은 일본의 3대 도시를 어떻게 생각하시는가? 도쿄, 오사카 두 개 도시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이견이 없었다. 하지만 마지막 한 자리를 두고 나고야와 후쿠오카가 자신들이 3번째라고 말했던 게 기억이 난다. 나에게 사실 후쿠오카는 출신이라고 하기엔 무리가 있지만 후쿠오카 현에서 유학을 했었기에 후쿠오카를 좋아하고 자주 찾는 장소 중에 하나로 애착심이 있다. 하지만 나고야는 가본적이 없을뿐더러 아는 것도 잘 없다. 내가 타는 캠리라는 차가 아이치현의 도요타 공장에..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