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한국사람들도 정말 많이 틀리는 되다 VS 돼다 에 대해 공부 해보겠다.
다음 두 문장 중 맞는 문장을 골라 보자
① 이게 말이 돼요?
② 이게 말이 되요?
되 와 돼는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에 아니 요즘은 애 와 에 와 같이 둘을 잘 구분 하지 않기 때문에
듣기로는 구분이 안된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 특히 젊은 사람들이 자주 틀린다.
아니 뉴스나 티비의 자막에서도 틀린 표현이 나올 정도로 정말 많은 사람들이 틀린다.
정답부터 말하면
① 이게 말이 돼요? 가 정답이다.
돼는 되어의 줄임말이다.
그래서 둘의 구분법 중 하나로 되 의 자리에 되어를 넣어보는 것이 있다.
유명 가수의 노래 제목인 안되나요가 안돼나요 와 헷갈린다면 안되어나요를 넣어 봤을때
어색하다면 안되나요가 맞는 표현이 되는것이다.
그리고 다음은 되 대신 하, 돼 대신 해 를 넣어 보는 것이다.
해 역시 하여의 줄임말이기 때문에 대체해서 넣어봐서 어색하면 틀린 표현이 된다.
안되나요 → 안하나요 ( O )
안돼나요 → 안해나요 ( X )
돼다 ( X ) → 되다 ( O )
안 돼지 ( X ) → 안되지 ( O )
됀 ( X ) → 된 ( O )
됌 ( X ) → 됨 ( O )
됄 ( X ) → 될 ( O )
됬 ( X ) → 됐/되었( O )
되서 ( X ) → 돼서/되어서 ( O )
되도 ( X ) → 돼도 / 되어도 ( O )
되요 ( X ) → 돼요/되어요 ( O )
반응형
'헷갈리는 한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에서 잘 못 쓰여지고 있는 한국어②_치지미(feat.전) (0) | 2024.11.14 |
---|---|
일본에서 잘 못 쓰여지고 있는 한국어 ①_치마저고리(feat.한복) (0) | 2024.11.13 |
궂이 VS 굳이 VS 구지 (0) | 2020.03.08 |
가르키다 VS 가르치다 (0) | 2020.03.06 |
안 , 않 의 차이 (0) | 2020.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