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헷갈리는 한국어

되다 vs 돼다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한국사람들도 정말 많이 틀리는 되다 VS 돼다 에 대해 공부 해보겠다.

 

다음 두 문장 중 맞는 문장을 골라 보자

 

① 이게 말이 돼요?

 

② 이게 말이 되요?

 

되 와 돼는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에 아니 요즘은 애 와 에 와 같이 둘을 잘 구분 하지 않기 때문에

 

듣기로는 구분이 안된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 특히 젊은 사람들이 자주 틀린다.

 

아니 뉴스나 티비의 자막에서도 틀린 표현이 나올 정도로 정말 많은 사람들이 틀린다.

 

정답부터 말하면

 

① 이게 말이 돼요? 가 정답이다.

 

돼는 되어의 줄임말이다.

 

그래서 둘의 구분법 중 하나로 되 의 자리에 되어를 넣어보는 것이 있다.

 

유명 가수의 노래 제목인 안되나요가  안돼나요 와 헷갈린다면 안되어나요를 넣어 봤을때

 

어색하다면 안되나요가 맞는 표현이 되는것이다.

 

그리고 다음은 되 대신 하, 돼 대신 해 를 넣어 보는 것이다.

 

해 역시 하여의 줄임말이기 때문에 대체해서 넣어봐서 어색하면 틀린 표현이 된다.

 

안되나요 → 안하나요 ( O )

안돼나요 → 안해나요 ( X )

 

 

돼다 ( X ) → 되다 ( O )

안 돼지 ( X ) → 안되지 ( O )

됀 ( X ) → 된 ( O )

됌 ( X ) → 됨 ( O )

됄 ( X ) → 될 ( O )

 

됬 ( X ) → 됐/되었( O )

되서 ( X ) → 돼서/되어서 ( O )

되도 ( X ) → 돼도 / 되어도 ( O )

되요 ( X ) → 돼요/되어요 ( O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