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107)
가 = GA? KA? 한글 공부를 할 때 처음 배우는 글 중에 하나인 가의 발음법에 대해 공부 해보고자 한다. 실제로 내가 본 여러가지 책에서 가의 알파벳 표기는 GA 혹은 KA 로 2가지가 존재했다. 이는 한국어 공부를 하는 일본인에게 처음부터 엄청난 혼란은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시작부터 2가지로 혼란을 주면 한글 공부에 흥미를 잃거나 공부가 어렵게 느껴질 수 있기에 여기서 정리해 보고자 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가는 GA도 KA도 아니다!! 애초에 왜 GA, KA 2가지가 존재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먼저 얘기 해보겠다. 사실 한국사람의 입장에서는 가는 당연히 GA로 표기해야 한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리고 실제 그렇게 표기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조금 더 파고들면 발음에 있어서 가와 KA의 경우 무성음, GA는..
일본인이 한국어를 쉽게 배우는 이유 앞에서 나는 일본인학생들이 다른나라 학생들보다 한국어 습득 능력이 월등히 빠르다고 서술한 적이 있다. 오늘은 왜 일본인들이 다른 나라 사람들에 비해 한국어를 비교적 쉽게 배울 수 있는지에 대해 적어 보려 한다. 1. 뿌리가 같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면 뿌리가 같다라고 생각한다. 물론 이에 동의 하는 사람도 있을것이고 반대하는 사람도 있을것이다. 한국어가 먼저냐 일본어가 먼저냐는 나에게 크게 중요하지 않다. 그건 역사학자들이 대신 할 일이다. 난 단지 일본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강사로서 쉽게 다가갈 수 있다는 점을 말하고 싶을 뿐이다. (제발 나와 같이 공부하는 일본인들은 이런 걸로 싸우지말자) (여기서 우리가 에너지를 써야할 곳은 역사가 아니라 한국어 공부이다) 실제로 한국어를 조금..
일본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이유 나는 실제로 2009년 일본 유학을 시작으로 한국어 강사의 길을 걷고 있다. 2009년도는 유학생으로서 프로페셔널 하지 못한 상태에서 일본인들과 같이 공부를 했었지만 당시에도 20대~60대에 걸쳐 많은 사람들과 소통하며 즐길수 있는 한국어 공부를 한 기억이 난다. 많은 일본인들은, 특히 일부 한류 오바상이라 불리우는 4~60대 연령대에서는 이미 공부할 시기가 지났다고 본인들이 판단해 공부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으나 (물론 충분이 이해하는 바이다.) 실제로 60대와 함께 공부한 경험이 있는 나로서는 조금 안타까운 느낌이 있다. 100세 인생 시대에 60대면 충분히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즐기고 살 수 있을것이라 생각한다. 물론 70대 이상에서도 가능하다고 믿는다 . 하지만 내 경험이 60대까지라 70대 이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