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간에는 친구 간에 약속을 정하는 것에 대해 공부할 것이다.
친구간에는 격식을 차리지 않고 보통 반말로 대화하며 친근함을 표현한다.
친구를 사귀는데 있어 약속을 정하는 것은 정말 자주 쓰는 표현이기에 잘 공부해서
친구를 많이 사귈수 있도록 하자.
대화 1
------------------------------------------------------------------------
닉 ; 나 요 앞에 좀 다녀올게. 일곱 시에 만나자.
다현 : 어, 오늘 약속시간 다섯시 아니야? 시간이 바뀌었어?
닉: 응, 정연이한테 급한 일이 있어서 두 시간 늦추기로 했어.
다현 : 그래? 그런데 왜 나한테는 연락을 안 해 줬어?
닉: 정연이가 연락하기로 했는데 깜빡했나봐.
다현 : 장소는 그대로야?
닉:장소는 얘기 없었어
다현: 그럼 우리 이렇게 있지 말고 정연이한테 전화 한번 해보자.
닉 : 그게 좋겠다.
-----------------------------------------------------------------------
1. 어휘 ( 약속 취소 및 변경 )
2. 문법 - 반말 3 (-자)
-자는 동사 뒤에 붙어서 친구와 같이 아주 친한 사이나 아랫사람에게 어떤 행동을 같이 하자고 할 때 사용된다.
---------------------------------------------------------------
1) 제니 : 지수야, 주말에 어디에서 만날까?
지수 : 조용한 데로 잡자
2) 제니 : 지수야 학교 끝나고 어디서 만나?
지수 : 학교 앞에서 2시에 만나자
3) 제니 : 지수야, 이번 주말에 시간이 괜찮으면 쇼핑하러 가자.
지수 : 그래 , 쇼핑몰 앞에서 3시에 만나자.
---------------------------------------------------------------
대화 2
------------------------------------------------------------------
닉 : 다현아, 이번 주말 행사 준비 다 되어 가고 있지?
시간이랑 장소도 다시 한번 공지해야 할 것 같아.
다현 : 응, 그건 채영이 담당이야. 채영이가 아까 행사장 약도를 이메일로 보냈어.
내일은 문자로 시간과 장소를 다시 알리기로 했고, 나는 내일 나눠줄 자료
복사만 하면 돼.
닉: 그래. 그런데 참석 인원이 몇 명이야?
다현 : 초대장 보낸 사람 중에서 담을 한 사람이 마흔 명이야.
아직 열 명은 답이 없어.
채영이가 오후에 한 명 한 명 전화해서 답을 받을 거야.
닉 : 그래. 그럼 난 이만 갈게. 채영이한테도 인사 전해 줘.
-----------------------------------------------------------------------------
1. 어휘 ( 약속 확인 및 전달)
2. 문법 - 반말 4 ((이)야)
(이) 야는 명사 뒤에 붙어서 친구나 아랫사람에게 어떤 사실을 알려 줄 때 사용된다.
가족과 같이 매우 친한 윗사람에게도 비격식적 상황에서는 사용될 수 있다.
---------------------------------------------------------------------
1) 제니 : 우리 만날 장소는 어디로 정했어?
지수 : 서울역 앞 부산 식당이야.
2) 제니 : 이번 주 토요일이 언니 결혼식이야
지수 : 그래? 축하해. 어디서 결혼식 해?
3) 제니 : 이거 내가 만든 불고기야. 한번 먹어 봐
지수 : 와 맛있다. 어떻게 만든 거야?
--------------------------------------------------------------------
'중급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탁과 거절 + 문법 ( -는데요, -기는 하다) (0) | 2020.03.09 |
---|---|
안부 + 문법 ( 반말5(-니/냐?) , 반말6(-지,-(으)ㄹ게, -(으)ㄹ래 , -군, -잖아) (0) | 2020.03.09 |
여가 활동 + 문법 (반말 1(아/야), 반말2(-아/어)) (0) | 2020.03.07 |
쇼핑 + 문법 ( A하고 B중에서, (이)라면) (0) | 2020.03.07 |
기념일 + 문법 ( (이)라서, -아/어 주다/드리다) (0) | 2020.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