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음

가 = GA? KA?

반응형

한글 공부를 할 때 처음 배우는 글 중에 하나인 가의 발음법에 대해 공부 해보고자 한다.

 

실제로 내가 본 여러가지 책에서 가의 알파벳 표기는 GA 혹은 KA 로 2가지가 존재했다.

 

이는 한국어 공부를 하는 일본인에게 처음부터 엄청난 혼란은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시작부터 2가지로 혼란을 주면 한글 공부에 흥미를 잃거나 공부가 어렵게 느껴질 수 있기에 여기서

 

정리해 보고자 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가는 GA도 KA도 아니다!!

 

애초에 왜 GA, KA 2가지가 존재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먼저 얘기 해보겠다.

 

사실 한국사람의 입장에서는 가는 당연히 GA로 표기해야 한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리고 실제 그렇게 표기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조금 더 파고들면 발음에 있어서 가와 KA의 경우 무성음, GA는 유성음이다.

 

그래서 우리가 가 라고 발음하는것을 영어권 사람들이 듣기에는 KA로 들리는 것이다.

 

무성음이니 유성음이니 이런단어가 나오면 우선 사람들은 관심을 돌린다.

 

그래서 더 쉬운 표현으로 하겠다.

 

가는 성대를 쓰지 않는다.

 

ㄱ 발음방법

 

 

가 의 소리

KA도 성대를 쓰지 않는다. (이것이 무성음이다.)

 

 

카 의 소리

 

하지만 GA는 성대를 쓴다. (이건 유성음이다.)

GA의 발음 (성대를 사용)

G 의 소리

가의 발음은 실제로는 KA와 GA의 중간이라고 표현해야 정확하다고 할 것이다.

 

실제로 영어권 국가에 교재로는 KA가 적당할 것이며 일본인들에겐 GA가 더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일본은 GA를 영어권 국가만큼 성대를 써서 발음하지 않기에)

 

이렇게 대상에 따라 가의 발음을 KA와 GA로 나누고자 한 것 같은데 이게 섞이다 보니

 

일본에서 파는 책에서도 KA가 표기되는 것으로 되어버린것 같아 씁쓸하다.

 

 

3개 발음의 유사점은 혀의 위치가 동일하다

 

3개 발음의 차이점은 성대 사용의 유무 (GA / 가,KA) 와 바람의 통과 유무 (카 / 가,GA)

 

 

 

 

반응형

'발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음 ㅜ ㅠ 의 발음  (0) 2020.02.15
모음 ㅗ ㅛ 의 발음  (0) 2020.02.15
모음ㅓ ㅕ 의 발음  (0) 2020.02.15
모음 ㅏ ㅑ 의 발음  (0) 2020.02.14
부산의 발음 방법  (0) 2020.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