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헷갈리는 한국어

진짜 vs 정말

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진짜와 정말의 사용법에 대해 공부해 보고자 한다.

 

다음 중 맞는 문장을 골라보자.

 

1. 이 라면은 진짜 맛있다.

2. 이 라면은 정말 맛있다.

 

사실 이 두 문장은 모두 맞다.

 

진짜와 정말은 부사로서는 실생활에서 특별히 구분해서 말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같은 의미라고 생각하면 된다.

 

일본어의 혼토니 와 마지데 랑 비슷한 느낌이랄까

 

하지만 명사가 되면 둘의 의미는 조금 달라진다.

 

다음의 두 문장을 보자.

 

1. 이 다이아몬드는 진짜다.

2. 이 다이아몬드는 정말이다.

 

1번은 나무랄 때 없는 문장이지만 2번의 문장은 어색하다.

 

정말의 명사적 의미 : 어떤 사실에 관한 말이 실제와 같은 상태인 것. 또는, 그 실제와 같은 말

 

진짜의 명사적 의미 : 거짓이나 위조가 아닌 참된 것

 

따라서 이 다이아몬드가 진짜라는 말은 정말이다.

 

정말의 경우 위의 문장과 같이 정말인지 아닌지의 대상이 말일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진짜는 조금 더 큰 범위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다이아몬드가 진짜라는 말은 진짜다.

 

위와 같이도 표현이 가능하다.

 

진짜와 정말 부사로서는 같은 의미이나. 명사로서는 진짜가 조금 더 큰 범위의 의미를 가진다라고 할 수 있겠다.

 

앞으로 진짜와 정말의 차이를 잘 구분해 부사로서 그리고 명사로서도 틀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

 

 

 

 

 

 

반응형

'헷갈리는 한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르키다 VS 가르치다  (0) 2020.03.06
안 , 않 의 차이  (0) 2020.03.04
하든지 ? 하던지 ? 차이  (0) 2020.03.02
다르다 vs 틀리다  (0) 2020.02.26
에요 vs 예요  (0) 2020.02.26